1/10 엔진 투어링 및 1/8 GT 한국선수권대회

2025 KMRCA 1/10 GP 투어링 및 1/8 GT CLASS 한국선수권대회

일시 : 20255년 09월 28일(일) / 장소 : 인제 스피디움 RC카 경기장 (문의 : 관리자 010-7194-8784)
접수기간 : 2025년 09월 25일(목)까지

참가비 2025년 09월 25일(목)까지 미입금시 조편성에서 제외됩니다.
참가비 납부계좌 : 우리은행 1005-102-948098 사단법인 한국무선조종모형자동차협회


참가선수 필독사항

참가선수는 신청전에 하기의 규정내용을 꼭 확인하신 후 참가신청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하기내용에 대한 미숙지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는 이의제기를 할 수 없습니다.
1/10 엔진투어링 경기규정(open/close)


● KMRCA 1/10 엔진 투어링 규정


1. 선수

  1-1 선수등록

    ① 경기시작전 선수등록시 대회본부에서 지급하는 선수식별번호스티커, 명찰을 지급받아야 한다.
    ② 선수식별번호스티커는 조종기와 차량 윙의 오른쪽 상단에 부착해야 한다. (종목에따라 생략될 수 있다.)
    ③ 명찰은 드라이버용 1개 , 미케닉용 1개로 구성되어있다. 단, 전동의 경우에는 미케닉명찰은 지급하지 않는다.
    ④ 선수식별번호스티커는 여유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윙교체 및 바디교체시 사용될 수 있다.
    ⑤ 경기시작전 조편성과 사용주파수를 확인하고 본인의 차량번호스티커를 차량에 부착한다. (4-3.차량규정 참조)

  1-2 명찰

BLUEDriver
YELLOWMechanics
GREENPress
WHITETeam Manager
REDRace Official
GRAYKMRCA Official

2. 대회운영

  2-1 마샬

    ① 조별 레이스를 마친 선수는 지정된 위치에서 다음조 코스마샬을 해야한다.
    ② 코스마샬은 차량이 전복등으로 마샬을 필요로하기전까지 트랙에 들어갈 수 없다.
    ③ 코스마샬도 타차량의파손,불참,규정위반등으로 레프리의 경고가 주어질 수 있으며, 본인기록에 반영될 수 있다.
    ④ 단, 주최측에서 마샬을 별도로 지정할 경우 마샬의 의무는 면제된다.

  2-2 팀메니저,미케닉

    ① 엔진카의 경우 드라이버는 1명의 피트 미케닉을 지정할 수 있다. 단, 최종결승에서는 2명까지 허용한다.
    ② 각팀은 팀별로 팀메니져 1명을 지정할 수 있으며, 팀메니저는 회원사(팀)가입 또는 갱신시 지정할 수 있다.
    ③ 제한구역별로 드라이버,미캐닉,팀메니저외 출입이 통제 될 수 있다.
    ④ 대회운영 및 대회와 관련된 질문 또는 문제 제기에 관해서 대회 오피셜과의 대화가 필요할 시 팀 메니저를 통해서만 의견 제시를 할 수 있다. 대회의 원할한 운영을 위하여 그 외의 인원에 의한 의견 제시는 모두 무시될 수 있다
    ⑤ 팀에서의 이의 제기 시 대회 진행에 차질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이에 대해 세부적인 조사나 항의를 원할 시 대회 이후 5일이내에 협회사무국으로 서면 또는 E mail을 통해 제기 할 수 있다.
    ⑥ 과도한 이의 제기로 대회진행 방해시 해당팀선수삭제 또는 선수와 팀메니저를 경기장내 퇴장 조치할 수 있다.

  2-3 대회 스케쥴

    ① 대회 진행은 시간표에 의해 진행이 되며, 이를 어길시 발생하는 불이익은 모두 드라이버의 책임이다.
    ② 주최측은 부득이한 사정에 의하여 시간이 지연되거나 변경되는 경우에 2회이상 안내방송을 한다. 

  2-4 주파수

    ① 국내에 R/C 자동차용으로 허용된 주파수만 사용이 가능하다.
    ② 주파수로 인하여 문제발생시 모든 책임은 드라이버에게 있으며. 대회진행의 딜레이는 요청 되어질 수 없다.
    ③ 잘못된 주파수를 사용하여 타 드라이버 기록에 문제 발생시 문제를 일으킨 드라이버는 패널티가 부여된다.
    ④ 주파수문제의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해 모든 조종기는 일괄 보관되어지며 이를 어길 시 패널티가 부여된다.
    ⑤ 보관된 조종기는 어떠한경우에도 대회가 종료전까지 찾아갈 수 없다.

  2-5 패널티

    ① 각 드라이버는 상대 차량에 고의적인 충격을 가해서는 안되며 이를 어겨 오피셜의 스탑엔고 명령이 방송되어지면 해당 드라이버는 피트인 하여 패널티 에어리어에서 멈추었다가 레프리 명령에 의해 주행을 하여야 한다.
    ② 스탑엔고명령을 거부할 경우 1회시 경고가 주어지며 2회시 예선최고기록 또는 결승최고기록 삭제한다.
    ③ 코스마샬 불참시 예선 또는 결승의 최고기록을 삭제 할 수 있다.
    ④ 대회 진행을 방해하는 행위나 시간을 지연시키는 행위를 하는 자에 대해서는 엄중한 패널티를 부여하게 된다. (기록삭제,퇴장 또는 차 후 대회 참가 자격 박탈 등 강도에 따른 패널티 부여)
    ⑤ 정해진 코스를 이탈하거나 건너 뛰어 주행하는 경우 패널티를 부여한다.

  2-6 계측장비

    ① 대회에 참가하는 모든 선수는 AMB사의 정품 개인계측장비 장착을 의무화 한다.
    ② AMB 개인계측장비로 인하여 발생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드라이버 본인에게 있다.
    ③ 개인 트랜스 폰더의 번호를 미입력 또는 잘못 입력후 시합에 임할시 기록이 인정 되지 않을수 있다.
    ④ AMB 체크가 안되었을경우 
       팀 메니저는 해당 경기 결과가 게시된 후 15분 이내 관련 타임 랩 시트(운영원이 게시한 것) 
       를 경기 진행원에게 랩타임 체크에 이상이 있다고 의견을 제시할수 있다.
       오류 발생 부분의 요청이 정당하다고 판단될 경우 타임키퍼/레프리의 재량으로 수정 가능.      

  2-7 레프리

    ① 지정된 1명 이상의 레프리는 경기중 발생되는 모든 패널티 판정을 수행 할 수 있다.
    ② 레프리의 모든 패널티 판정결과에는 대회기간중 어느 누구도 항의 또는 이의제기를 할 수 없다.
    ③ 레프리의 모든 패널티 판정은 번복될 수 없으며, 이의 제기는 규정집 2-2-5에 준한다.

  2-8 일반규정

    ① 동력에 의한 후진은 금지되며 전진으로만 주행한다. (전자변속기 후진 금지 설정 필수)
    ② 경기중 파손또는 차량의 문제로 피트인할 경우 반드시 지정된 장소 또는 주유피트에서 재출발 시켜야 한다.
    ③ 경기중 발생하는 모든 사고의 책임은 선수본인에게 있다. 단, 경기장시설물 붕괴또는 낙하물 사고는 예외로 한다.
    ④ 대회장내에서는 앞부분이 트인 슬리퍼 및 샌들의 착용을 금지한다.
    ⑤ 엔진종목 경기중 엔진이 꺼지거나 파손으로 피트인할 경우 반드시 주유피트에서 재출발 시켜야 한다.

3. 경기

  3-1 연습주행

    ① 연습주행은 주행후 차검을 실시하지 않으며, 본인의 필요에의해 차검을 요청할 수 있다.
    ② 대회일정또는 참가선수의 수에 의하여 생략될 수 있다.

  3-2 콘트롤 프랙티스

    ① 콘트롤 프랙티스의 기록은 예선 조편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차량검사를 받아야 기록이 인정될 수 있다.
    ② 콘트롤 프랙티스는 일정에 의해 생략될 수 있다.

  3-3 예선

    ① 예선경기시간은 5분이상이며, 대회 일정과 상황에 따라서 3회~5회를 실시한다.
    ② 예선출발은 운영요원의 지시에 의해서 출발한다.
    ③1위는 0점이되며, 2위는 2점, 3위는 3점, 이후 순위는 +1점씩 추가합니다.
      - 예선 5회 : 5회중 상위기록 3회를 점수방식으로 합산.
      - 예선 4회 : 4회중 상위기록 2회를 점수방식으로 합산.
      - 예선 3회 : 3회중 상위기록 2회를 점수방식으로 합산.
        (예)
가장 빠른 기록의 선수 11LAP - 5:03.078 0점
2번째 빠른 기록의 선수 11LAP - 5:03.079 2점
3번째 빠른 기록의 선수 11LAP - 5:03.080  3점
4번째 빠른 기록의 선수 11LAP - 5:03.081  4점
5번째 빠른 기록의 선수 11LAP - 5:03.082 5점

    ④ 최종 합산 점수가 동점일 경우 최고기록순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예)
순위 1차점수 2차점수 3차점수 합계 최고기록
1위 5 6 0 5 11LAP - 5:01.070
2위 0 5 6 5 11LAP - 5:01.090
3위 11 2 4 6 11LAP - 5:05.100
4위 3 3 10 6 11LAP - 5:03.011

    ⑤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예선을 2회 이하만 실시할 경우는 1회의 최고기록으로 예선 순위를 결정한다.
    ⑥ 점수가 동점일 경우 합산되는 점수중 최고점수로 순위를 결정하며, 다시 동점이 되는경우 두번째, 세번째 점수로 순위를 결정한다. 모두 동점인 경우는 결승 기록중 최고기록(랩타임)을 보유한 선수를 우선순위로 한다.

    ⑤ 각 조의 인원은 최대 10명의 선수로 경기를 진행 할수 있다.


  3-4 결승


    ① 결승은 크리스마스 트리방식으로 진행 된다.
    ② SEMI FINAL까지 각 블록에서 3명씩 상위로 진출할 수 있으며 마지막 SEMI FINAL에서 각 블록에서 상위 4명씩 결승전에 진출하며 이후 나머지 선수들은 기록을 비교하여 좋은 기록순으로 2명이 추가로 결승에 진출할 수 있다. 단, 우천에 의한 경기 중지후 기록이 인정된 경우 블록별로 상위 5명씩의 선수가 결승에 진출한다.
    ③ 결승 그리드는 기록 순으로 지정한다
    ④ 각 메인은 블록당 최대 10명의 선수로 경기를 진행한다.
    ⑤ 결승시간은 경기일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31374782_UsnGul3y_8be5ea32feb05704dc3c42e1f4fa0f416a8e8f3e.gif

 

 3-5 우천시 대회 진행


    ① 우천에 의해서 대회의 진행이 불가능 할 경우 주최측의 판단으로 중지,종료 또는 연기를 할 수 있다.
    ② 중지
      - 비로 인하여 경기가 진행이 어려울 경우 주최측은 경기도중에 즉시 중지을 선언할 수 있다.
      - 노면이 100% 비에 젖은 상태로 5분이상 주행이 어려울정도로 비가 내릴경우 즉시 중지를 선언할 수 있다.
      - 예선경기중 중단되는 경우는 중지된 조의 경기는 무효가 된다.
    ③ 진행
      - 비가 완전히 그친후 노면이 주행이 가능한경우 경기를 다시 진행할 수 있으며, 예선은 중지된 경기부터 다시 시작한다
      - 결승경기는 25%이하가 진행후 중지된 경우 재경기를 한다.
      - 결승경기는 50%이하가 진행후 중지된 경우 중지된 시점부터의 기록으로 남은시간을 연결하여 다시 시작한다.
      - 결승경기의 재시작은 중단된 시점의 기록으로 그리드를 지정한다.
      - 대회일정은 비로 인하여 경기시간과 횟수가 변경 될 수 있으며, 최종종료시간은 오후 8시를 넘을 수 없다. 단, 경기장의 시설및 위치에 따라 야간경기가 어려울경우 오후 6시를 넘을 수 없다.
      - 최종종료시간에 의해 시간이 부족한 경우는 예선기록 상위10명으로 A-MAIN만 경기를 할 수 있다.
    ④ 종료
      - 예선 2회 이상 진행후 종료된 경우 현재예선기록순위로 순위를 결정한다.
      - 순위결정을 위한 라운드는 모든조의 경기가 완료된 경우만 그 라운드기록이 인정될 수 있다.
      - A-MAIN 경기시간이 25%이하(하위메인포함)의 진행상태에서 종료된 경우 예선기록으로 최종순위를 결정한다.
      - A-MAIN 경기시간이 25%를 초과한 진행상태에서 종료된 경우 종료된 현재의 기록으로 최종순위를 결정한다.
      - 경기시간이 50%를 초과하여 중지될 경우 중지된 기록은 인정이 되며, 중지된 기록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3-6 딜레이스타트


    ① B-MAIN이상부터 출발전 딜레이를 신청할 수 있다. 단, 주파수에 관련된 신청은 인정되지 않는다.
    ② 딜레이신청은 선수중 단 한명만 한번 신청이 가능하며, 출발시간은 10분간 지연이 된다.
    ③ 딜레이신청을 했던 선수는 0번 위치의 6미터 뒤에서 출발한다.

4 차량

  4-1 KMRCA인증 브랜드 사용


    ① 대회에 사용가능한 모든 제품의 브랜드는 "KMRCA 한국선수권 참가 가능 브랜드" 규정에 준한다.


  4-2 차량 검사


    ① 경기전 모든차량은 일1회 정밀검사를 받아 차량의 주행가능여부를 확인 받아야 한다.
    ② 정밀검사후 표시되는 마킹의 훼손또는 개조등은 허락될 수 없다.
    ③ 매경기 종료후 차량은 지정된 차량검사대에서 차량검사를 받아야 한다.
    ④ 차량검사 불응또는 불합격시 해당 경기기록은 삭제된다.


  4-3 차량 규정


    ① 차체
      - 휠베이스 : 230mm이상 270mm이하
      - 차      폭 : 170mm이상 200mm이하 (바디제외)
      - 차      폭 : 175mm이상 205mm이하 (바디포함)
      - 전체길이 : 360mm이상 460mm이하 (전체 바디 및 윙 포함)
      - 높      이 : 120mm이상 175mm이하 (섀시밑에 10mm 스페이서를 고인상태에서)

    ② 중량 (계측장비포함)
      - 1650g이상 (연료를 제외하고 계측장비를 포함한다.)

    ③ 휠,타이어
      - 휠폭 : 30mm이하 (비드부분포함)
      - 휠지름 : 46mm이상 50mm이하 (타이어비드미포함)
      - 타이어폭 : 30mm이하
      - 타이어재질 : 스폰지 또는 고무

    ④ 엔진
      - 2.11cc 이하 공랭식 글로우엔진으로 배기구 포함 최대 4포트까지 허용한다
      - 캬브레터 공기 흡입구 최대 직경은 5.5mm 이내로 한다

    ⑤ 머플러
      - 테일파이프 : 내경 5.2mm이하 , 길이 10mm이상
      - 머플러 세트는 IFMAR(EFRA, FEMCA) 승인 제품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다.
      - 에어크리너는 사일렌서(Inlet Noise Silencer, IFMAR 승인 제품에 한함)를 필히 장착해야 한다.

    ⑥ 연료
      - 연료는 니트로 메탄을 최대 25% 까지 함유 할수 있다.

    ⑦ 연료탱크
     - 용량 : 75cc 이하 (연료호스 내적 포함)
     - 연료량 계측은 당해 라운드 종료후 측정.
     - 두번째 계측은 15분의 냉각 기간후 측정.
     - 섭씨 20도 이상의 온도의 경우에만 필요.

    ⑧ 바디
      - 1/10 스케일 투어링모양의 2도어 혹은 4도어 버전이 허용된다. GT카는 사용할 수 없다.
      - 바디는 연성을 가진 재질로 만들어져야 하며 모든 창문을 제외하고 도색이 되어 있어야 한다.
      - 바디는 프론트 및 리어의 범퍼 아래로 잘라져서는 안되며 도어 아래쪽 라인 밑으로의 컷팅을 해서는 안된다.
      - 바디의 뒤쪽의 개방면은 섀시에 10mm 블록을 고인 상태에서 50mm 이상 되어서는 안된다.
      - 프론트와 리어의 라이트, 그릴, 에어 인테이크 등의 디테일이 모두 표현 되어 있어야 한다.
      - 바디가공
          *. 한 개의 냉각용 구멍이 최대지름60mm 사이즈로 앞 유리에 있을 수 있다.(지붕이나 본넷을 침범해서는 안된다.)
          *. 급유를 위한 구멍은 최대지름50mm이하 이며, 타 구멍과 최소 5mm이상 거리를 두어야 한다.
          *. 최대지름 35mm의 글로우 부스터를 위한 구멍이 지붕에 있을 수 있다.
          *. 양쪽 앞쪽의 측면 창문은 제거 될 수 있다. 그러나 뒤쪽 측면 창문은 존재하여야 한다.
          *. 배기구와 폰더, 안테나를 위한 작은 구멍이 있을 수 있다.
          *. 롤바는 바디 안에 있어야 한다.
          *. 바디를 위에서 보았을 때 모든 파트는 안에 존재하여야 한다.

    ⑨ 윙,스포일러
      - 폭 : 125mm이상 200mm이하 (지지대, 사이드판 포함)
      - 길이 : 50mm이하 (모든 장착물 포함)
      - 사이드판 : 35mmx50mm이하
      - 오버행 : 바디로부터 10mm까지 허용한다.
      - 1개의윙과 1개의스포일러가 허용(실제차량에서 장착되어있을시 허용)되며 윙의 높이는 차량지붕보다 낮아야 한다.

    ⑩ 번호스티커
      - 차량 전면,좌측면,우측면 각 1장씩 총3장의 번호스티커를 부착해야하며, 스티커는 절단,개조할 수 없다.

    ⑪ 기타
      - 안테나 : 유연성 있는 재질에 한함. (메탈, 카본 등 ROLLOVER 안테나 파이프 사용금지)

 



1/8 엔진GT 경기규정(open/close)


● KMRCA 1/8 엔진 GT 규정



1. 선수


1-1 선수등록

① 경기시작전 선수등록시 대회본부에서 지급하는 선수식별번호스티커,명찰을 지급받아야 한다.
② 선수식별번호스티커는 조종기와 차량 윙의 오른쪽 상단에 부착해야 한다. (종목에따라 생략될 수 있다.)
③ 명찰은 드라이버용 1개 , 미케닉용 1개로 구성되어있다. 단, 전동의 경우에는 미케닉명찰은 지급하지 않는다.
④ 선수식별번호스티커는 여유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윙교체 및 바디교체시 사용될 수 있다.
⑤ 경기시작전 조편성과 사용주파수를 확인하고 본인의 차량번호스티커를 차량에 부착한다. (4-3.차량규정 참조)


1-2 명찰

① 명찰은 색상으로 용도가 구분된다. 명찰이 없을경우 경기장내 일부구역에 출입이 제한될 수 있다.

BLUEDriver
YELLOWMechanics
GREENPress
WHITETeam Manager
REDRace Official
GRAYKMRCA Official


2. 대회운영


2-1 마샬

① 조별 레이스를 마친 선수는 지정된 위치에서 다음조 코스마샬을 해야한다.
② 코스마샬은 차량이 전복등으로 마샬을 필요로하기전까지 트랙에 들어갈 수 없다.
③ 코스마샬도 타차량의파손,불참,규정위반등으로 레프리의 경고가 주어질 수 있으며, 본인기록에 반영될 수 있다.
④ 단, 주최측에서 마샬을 별도로 지정할 경우 마샬의 의무는 면제된다.


2-2 팀메니저,미케닉

① 엔진카의 경우 드라이버는 1명의 피트 미케닉을 지정할 수 있다. 단, 최종결승에서는 2명까지 허용한다.
② 각팀은 팀별로 팀메니져 1명을 지정할 수 있으며, 팀메니저는 회원사(팀)가입 또는 갱신시 지정할 수 있다.
③ 제한구역별로 드라이버,미캐닉,팀메니저외 출입이 통제 될 수 있다.
④ 대회운영 및 대회와 관련된 질문 또는 문제 제기에 관해서 대회 오피셜과의 대화가 필요할 시 팀 메니저를 통해서만 의견 제시를 할 수 있다. 대회의 원할한 운영을 위하여 그 외의 인원에 의한 의견 제시는 모두 무시될 수 있다.
⑤ 팀에서의 이의 제기 시 대회 진행에 차질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이에 대해 세부적인 조사나 항의를 원할 시 대회 이후 5일이내에 협회사무국으로 서면 또는 E mail을 통해 제기 할 수 있다.
⑥ 과도한 이의 제기로 대회진행 방해시 해당팀선수삭제 또는 선수와 팀메니저를 경기장내 퇴장 조치할 수 있다.


2-3 대회 스케쥴

① 대회 진행은 시간표에 의해 진행이 되며, 이를 어길시 발생하는 불이익은 모두 드라이버의 책임이다.
② 주최측은 부득이한 사정에 의하여 시간이 지연되거나 변경되는 경우에 2회이상 안내방송을 한다.


2-4 주파수

① 국내에 R/C 자동차용으로 허용된 주파수만 사용이 가능하다.
② 주파수로 인하여 문제발생시 모든 책임은 드라이버에게 있으며. 대회진행의 딜레이는 요청 되어질 수 없다.
③ 잘못된 주파수를 사용하여 타 드라이버 기록에 문제 발생시 문제를 일으킨 드라이버는 패널티가 부여된다.
④ 주파수문제의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해 모든 조종기는 일괄 보관되어지며 이를 어길 시 패널티가 부여된다.
⑤ 보관된 조종기는 어떠한 경우에도 대회가 종료전까지 찾아갈 수 없다.


2-5 패널티

① 각 드라이버는 상대 차량에 고의적인 충격을 가해서는 안되며 이를 어겨 오피셜의 스탑엔고 명령이 방송되어지면 해당 드라이버는 피트인 하여 패널티 에어리어에서 멈추었다가 레프리 명령에 의해 주행을 하여야 한다.
② 스탑엔고 명령을 거부할 경우 1회시 경고가 주어지며 2회시 예선최고기록 또는 결승최고기록 삭제한다.
③ 코스마샬 불참시 예선 또는 결승의 최고기록을 삭제 할 수 있다.
④ 대회 진행을 방해하는 행위나 시간을 지연시키는 행위를 하는 자에 대해서는 엄중한 패널티를 부여하게 된다. (기록삭제,퇴장 또는 차후 대회 참가 자격 박탈 등 강도에 따른 패널티 부여)
⑤ 정해진 코스를 이탈하거나 건너 뛰어 주행하는 경우 패널티를 부여한다.


2-6 계측장비

  ① 대회에 참가하는 모든 선수는 AMB사의 정품 개인계측장비 장착을 의무화 한다.
  ② AMB 개인계측장비로 인하여 발생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드라이버 본인에게 있다.
  ③ 개인 트랜스 폰더의 번호를 미입력 또는 잘못 입력후 시합에 임할시 기록이 인정 되지 않을수 있다.
  ④ AMB 체크가 안되었을경우 
     팀 메니저는 해당 경기 결과가 게시된 후 15분 이내 관련 타임 랩 시트(운영원이 게시한 것) 
     를 경기 진행원에게 랩타임 체크에 이상이 있다고 의견을 제시할수 있다.
     오류 발생 부분의 요청이 정당하다고 판단될 경우 타임키퍼/레프리의 재량으로 수정 가능.          

2-7 레프리

① 지정된 1명 이상의 레프리는 경기중 발생되는 모든 패널티 판정을 수행 할 수 있다.
② 레프리의 모든 패널티 판정결과에는 대회기간중 어느 누구도 항의 또는 이의제기를 할 수 없다.
③ 레프리의 모든 패널티 판정은 번복될 수 없으며, 이의 제기는 규정집 2-2-5에 준한다.


2-8 일반규정

① 동력에 의한 후진은 금지되며 전진으로만 주행한다. (전자변속기 후진 금지 설정 필수)
② 경기중 파손으로 피트인할 경우 반드시 지정된 장소에서 재출발 시켜야 한다.
③ 경기중 발생하는 모든 사고의 책임은 선수본인에게 있다. 단, 경기장시설물 붕괴또는 낙하물 사고는 예외로 한다.
④ 대회장내에서는 앞부분이 트인 슬리퍼 및 샌들의 착용을 금지한다.
⑤ 엔진종목 경기중 엔진이 꺼지거나 파손으로 피트인할 경우 반드시 주유피트에서 재출발 시켜야 한다.


3. 경기

3-1 연습주행

① 연습주행은 주행후 차검을 실시하지 않으며, 본인의 필요에의해 차검을 요청할 수 있다.
② 연습주행은 일정에 의해 생략될 수 있다.


3-2 컨트롤 프랙티스

① 컨트롤 프랙티스의 기록은 예선 조편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차량검사를 받아야 기록이 인정될 수 있다.
② 컨트롤 프랙티스는 일정에 의해 생략될 수 있다.


3-3 예선

① 예선경기시간은 5분이상이며, 대회 일정과 상황에 따라서 3회~5회를 실시한다.
② 예선출발은 운영요원의 지시에 의해서 출발한다.
③ 1위는 0점이되며, 2위는 2점, 3위는 3점, 이후 순위는 +1점씩 추가합니다..

예선 5회 : 5회중 상위기록 3회를 점수방식으로 합산.
예선 4회 : 4회중 상위기록 2회를 점수방식으로 합산.
예선 3회 : 3회중 상위기록 2회를 점수방식으로 합산.


예제가장 빠른 기록의 선수11LAP - 5:03.0780점
2번째 빠른 기록의 선수11LAP - 5:03.0792점
3번째 빠른 기록의 선수11LAP - 5:03.0803점
4번째 빠른 기록의 선수11LAP - 5:03.0814점
5번째 빠른 기록의 선수11LAP - 5:03.0825점


④ 최종 합산 점수가 동점일 경우 최고기록순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예제순위1차점수2차점수3차점수합계최고기록
1위560511LAP-5:01.070
2위056511LAP-5:01.090
3위1124611LAP-5:05.100
4위3310611LAP-5:03.011


⑤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예선을 2회 이하만 실시할 경우는 1회의 최고기록으로 예선 순위를 결정한다.
④ 점수가 동점일 경우 합산되는 점수중 최고점수로 순위를 결정하며, 다시 동점이 되는경우 두번째,세번째 점수로 순위를 결정한다. 모두 동점인 경우는 결승 기록중 최고기록(랩타임)을 보유한 선수를 우선순위로 한다.
⑤ 각 조의 인원은 최대 10명의 선수로 경기를 진행 할수 있다.


3-4 결승

① 결승은 크리스마스 트리방식으로 진행 된다.
② SEMI FINAL까지 각 블록에서 3명씩 상위로 진출할 수 있으며 마지막 SEMI FINAL에서 각 블록에서 상위 4명씩 결승전에 진출하며 이후 나머지 선수들은 기록을 비교하여 좋은 기록순으로 2명이 추가로 결승에 진출할 수 있다. 단, 우천에 의한 경기 중지후 기록이 인정된 경우 블록별로 상위 5명씩의 선수가 결승에 진출한다.
③ 결승 그리드는 기록 순으로 지정한다.
④ 각 메인은 블록당 최대 10명의 선수로 경기를 진행한다.
⑤ 결승시간은 경기일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31374782_dSTrmHc9_e45ad95d0598244deb326f7a728d51c9918a8110.jpg

 

3-5 우천시 대회 진행

① 날씨에 의해서 대회의 진행이 불가능 할 경우 주최측의 판단으로 중지,종료,연기 할 수 있다.
② 중지

- 비로 인하여 경기가 진행이 어려울 경우 주최측은 경기도중에 즉시 중지을 선언할 수 있다.
- 노면이 100% 비에 젖은 상태로 5분이상 주행이 어려울정도로 비가 내릴경우 즉시 중지를 선언할 수 있다.
- 예선경기중 중단되는 경우는 중지된 조의 경기는 무효가 된다.

③ 진행

- 비가 완전히 그친후 노면이 주행이 가능한경우 경기를 다시 진행할 수 있으며, 예선은 중지된 경기부터 다시 시작한다.
- 결승경기는 25%이하가 진행후 중지된 경우 재경기를 한다.
- 결승경기는 50%이하가 진행후 중지된 경우 중지된 시점부터의 기록으로 남은시간을 연결하여 다시 시작한다.
- 결승경기의 재시작은 중단된 시점의 기록으로 그리드를 지정한다.
- 대회일정은 비로 인하여 경기시간과 횟수가 변경 될 수 있으며, 최종종료시간은 오후 8시를 넘을 수 없다. 단, 경기장의 시설 및 위치에 따라 야간경기가 어려울 경우 오후 6시를 넘을 수 없다.
- 최종종료시간에 의해 시간이 부족한 경우는 예선기록 상위10명으로 A-MAIN만 경기를 할 수 있다.

④ 종료

- 예선 2회 이상 진행후 종료된 경우 현재예선기록순위로 순위를 결정한다.
- 순위결정을 위한 라운드는 모든조의 경기가 완료된 경우만 그 라운드기록이 인정될 수 있다.
- A-MAIN 경기시간이 25%이하(하위메인포함)의 진행상태에서 종료된 경우 예선기록으로 최종순위를 결정한다.
- A-MAIN 경기시간이 25%를 초과한 진행상태에서 종료된 경우 종료된 현재의 기록으로 최종순위를 결정한다.
- 경기시간이 50%를 초과하여 중지될 경우 중지된 기록은 인정이 되며, 중지된 기록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3-6 딜레이스타트

① B-MAIN이상부터 출발전 딜레이를 신청할 수 있다. 단, 주파수에 관련된 신청은 인정되지 않는다.
② 딜레이신청은 선수중 단 한명만 한번 신청이 가능하며, 출발시간은 10분간 지연이 된다.
③ 딜레이신청을 했던 선수는 0번 위치의 6미터 뒤에서 출발한다.

4 차량

4-1 KMRCA인증 브랜드 사용

① 대회에 사용가능한 모든 제품의 브랜드는 "KMRCA 한국선수권 참가 가능 브랜드" 규정에 준한다.


4-2 차량검사 

① 경기전 모든차량은 일1회 정밀검사를 받아 차량의 주행가능 여부를 확인 받아야 한다.
② 정밀검사후 표시되는 마킹의 훼손또는 개조등은 허락될 수 없다.
③ 매경기 종료후 차량은 지정된 차량검사대에서 차량검사를 받아야 한다.
④ 차량검사 불응 또는 불합격시 해당 경기기록은 삭제된다.


4-3 차량규정

① 차체

   - 휠베이스 : 320mm이상 379mm이하
   - 최대 넓이 : 310mm
   - 높이 : 최소 높이 155.0mm (20mm 블록의 섀시 플레이트 포함).
   - 1/8 오프로드 자동차 베이스의 기반으로 프런트 킥업이 최소 5도 이상 이어야 한다.
   - 샤프트 드라이브 방식 이어야 한다.
   - 범퍼 : 유연한 "폼" 재질로 된 범퍼가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모서리 부분이 둥글게 처리 되어야 한다.
     최소 치수는 200x20mm

② 중량 (계측장비포함)

- 3.500g이상 (연료를 제외하고 계측장비를 포함한다.)

③ 타이어

   - 타이어 폭 : 최대 45mm
   - 타이어 직경 : 98mm이상 , 102mm 이하
   - 타이어 색 : 검정색
   - 타이어재질 : 고무이어야 하며  17mm 휠 너트로 고정해야 한다.

④ 엔진

   - 3.5cc 이하 공랭식 글로우 엔진에 한한다.
   - 캬브레터 공기 흡입구 최대 직경은 7.0mm 이내로 한다
   - 포트 최대 5포트 
   - 클러치는 오프로드 버기 베이스의 2.3.4 점식 원심 클러치만 사용 가능 (센탁스 클러치 사용 불가)

⑤ 머플러

- 머플러 세트는 IFMAR(EFRA, FEMCA) 승인 제품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다.
- 에어크리너는 사일렌서(Inlet Noise Silencer, IFMAR 승인 제품에 한함)를 필히 장착해야 한다.

⑥ 연료

- 연료는 니트로 메탄을 최대 25% 까지 함유 할수 있다.

⑦ 연료탱크

- 용량 : 150cc 이하 (연료호스 내적 포함)
- 연료량 계측은 당해 라운드 종료후 측정.
- 두번째 계측은 15분의 냉각 기간후 측정.
- 섭씨 20도 이상의 온도의 경우에만 필요.

⑧ 바디 

   - 시판중(KMRCA 인증)인 1/8 스케일 GT용 바디에 한함.
      단, 창문이 있는 바디는 창문이 투명한 색상이어야 한다.
   - 라이센스 바디
   - 미니멈 두께는 0.9mm


2666bc9c42db6b9a7b66e8e9971994a5_1691983203_5179.PNG
 

  - 전면 유리창의 허용 최대 직경은 80mm
  - 주유를 위한 루프의 허용 최대 직경은 50mm
  - 글로우 플러그 이그나이터 최대 허용 직경은 35mm

 

2666bc9c42db6b9a7b66e8e9971994a5_1691983508_2634.PNG
 






⑨ 윙,스포일러

     리어 윙 사이드 댐 길이

     높이 : 77mm

     폭 : 최대: 217mm

  ⑩ 프런트 폼 범퍼
    - 프런트 폼 범퍼 의무 장착
    - 최소 200x20mm

 미션

- 최대 2단의 변속장치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번호스티커

- 차량 전면,좌측면,우측면 각 1장씩 총3장의 번호스티커를 부착해야하며, 스티커는 절단,개조할 수 없다.
31374782_LCVA2e7d_95938efa1d3fc6b3f75328a79c2739e88e3b42dc.gif

⑫ 기타

- 안테나 : 유연성 있는 재질에 한함. (메탈, 카본 등 ROLLOVER 안테나 파이프 사용금지) 



KMRCA 종목별 경기 규정 입니다. 클릭하면 바로 이동합니다.

 구분

온로드

오프로드

1/8

 엔진온로드 / 전동온로드

 엔진버기 / 전동버기

 엔진GT / 전동GT

 엔진트러기 / 전동트러기

1/10

 엔진투어링 / 전동투어링

 전동버기 2WD 4WD

1/12

 전동온로드(F1)

 

기타

 무선 조종 모형 자동차(rc카)용 지상 주파수 규정


1/8 전동GT 경기규정(open/close)


● KMRCA 1/8 전동 GT 규정



1. 선수


1-1 선수등록

① 경기시작전 선수등록시 대회본부에서 지급하는 선수식별번호스티커,명찰을 지급받아야 한다.
② 선수식별번호스티커는 조종기와 차량 윙의 오른쪽 상단에 부착해야 한다. (종목에따라 생략될 수 있다.)
③ 명찰은 드라이버용 1개 , 미케닉용 1개로 구성되어있다. 단, 전동의 경우에는 미케닉명찰은 지급하지 않는다.
④ 선수식별번호스티커는 여유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윙교체 및 바디교체시 사용될 수 있다.
⑤ 경기시작전 조편성과 사용주파수를 확인하고 본인의 차량번호스티커를 차량에 부착한다. (4-3.차량규정 참조)


1-2 명찰

① 명찰은 색상으로 용도가 구분된다. 명찰이 없을경우 경기장내 일부구역에 출입이 제한될 수 있다.

BLUEDriver
YELLOWMechanics
GREENPress
WHITETeam Manager
REDRace Official
GRAYKMRCA Official


2. 대회운영


2-1 마샬

① 조별 레이스를 마친 선수는 지정된 위치에서 다음조 코스마샬을 해야한다.
② 코스마샬은 차량이 전복등으로 마샬을 필요로하기전까지 트랙에 들어갈 수 없다.
③ 코스마샬도 타차량의파손,불참,규정위반등으로 레프리의 경고가 주어질 수 있으며, 본인기록에 반영될 수 있다.
④ 단, 주최측에서 마샬을 별도로 지정할 경우 마샬의 의무는 면제된다.


2-2 팀메니저,미케닉

① 엔진카의 경우 드라이버는 1명의 피트 미케닉을 지정할 수 있다. 단, 최종결승에서는 2명까지 허용한다.
② 각팀은 팀별로 팀메니져 1명을 지정할 수 있으며, 팀메니저는 회원사(팀)가입 또는 갱신시 지정할 수 있다.
③ 제한구역별로 드라이버,미캐닉,팀메니저외 출입이 통제 될 수 있다.
④ 대회운영 및 대회와 관련된 질문 또는 문제 제기에 관해서 대회 오피셜과의 대화가 필요할 시 팀 메니저를 통해서만 의견 제시를 할 수 있다. 대회의 원할한 운영을 위하여 그 외의 인원에 의한 의견 제시는 모두 무시될 수 있다.
⑤ 팀에서의 이의 제기 시 대회 진행에 차질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이에 대해 세부적인 조사나 항의를 원할 시 대회 이후 5일이내에 협회사무국으로 서면 또는 E mail을 통해 제기 할 수 있다.
⑥ 과도한 이의 제기로 대회진행 방해시 해당팀선수삭제 또는 선수와 팀메니저를 경기장내 퇴장 조치할 수 있다.


2-3 대회 스케쥴

① 대회 진행은 시간표에 의해 진행이 되며, 이를 어길시 발생하는 불이익은 모두 드라이버의 책임이다.
② 주최측은 부득이한 사정에 의하여 시간이 지연되거나 변경되는 경우에 2회이상 안내방송을 한다.


2-4 주파수

① 국내에 R/C 자동차용으로 허용된 주파수만 사용이 가능하다.
② 주파수로 인하여 문제발생시 모든 책임은 드라이버에게 있으며. 대회진행의 딜레이는 요청 되어질 수 없다.
③ 잘못된 주파수를 사용하여 타 드라이버 기록에 문제 발생시 문제를 일으킨 드라이버는 패널티가 부여된다.
④ 주파수문제의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해 모든 조종기는 일괄 보관되어지며 이를 어길 시 패널티가 부여된다.
⑤ 보관된 조종기는 어떠한 경우에도 대회가 종료전까지 찾아갈 수 없다.


2-5 패널티

① 각 드라이버는 상대 차량에 고의적인 충격을 가해서는 안되며 이를 어겨 오피셜의 스탑엔고 명령이 방송되어지면 해당 드라이버는 피트인 하여 패널티 에어리어에서 멈추었다가 레프리 명령에 의해 주행을 하여야 한다.
② 스탑엔고 명령을 거부할 경우 1회시 경고가 주어지며 2회시 예선최고기록 또는 결승최고기록 삭제한다.
③ 코스마샬 불참시 예선 또는 결승의 최고기록을 삭제 할 수 있다.
④ 대회 진행을 방해하는 행위나 시간을 지연시키는 행위를 하는 자에 대해서는 엄중한 패널티를 부여하게 된다. (기록삭제,퇴장 또는 차후 대회 참가 자격 박탈 등 강도에 따른 패널티 부여)
⑤ 정해진 코스를 이탈하거나 건너 뛰어 주행하는 경우 패널티를 부여한다.


2-6 계측장비

  ① 대회에 참가하는 모든 선수는 AMB사의 정품 개인계측장비 장착을 의무화 한다.
  ② AMB 개인계측장비로 인하여 발생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드라이버 본인에게 있다.
  ③ 개인 트랜스 폰더의 번호를 미입력 또는 잘못 입력후 시합에 임할시 기록이 인정 되지 않을수 있다.
  ④ AMB 체크가 안되었을경우 
     팀 메니저는 해당 경기 결과가 게시된 후 15분 이내 관련 타임 랩 시트(운영원이 게시한 것) 
     를 경기 진행원에게 랩타임 체크에 이상이 있다고 의견을 제시할수 있다.
     오류 발생 부분의 요청이 정당하다고 판단될 경우 타임키퍼/레프리의 재량으로 수정 가능.          

2-7 레프리

① 지정된 1명 이상의 레프리는 경기중 발생되는 모든 패널티 판정을 수행 할 수 있다.
② 레프리의 모든 패널티 판정결과에는 대회기간중 어느 누구도 항의 또는 이의제기를 할 수 없다.
③ 레프리의 모든 패널티 판정은 번복될 수 없으며, 이의 제기는 규정집 2-2-5에 준한다.


2-8 일반규정

① 동력에 의한 후진은 금지되며 전진으로만 주행한다. (전자변속기 후진 금지 설정 필수)
② 경기중 파손으로 피트인할 경우 반드시 지정된 장소에서 재출발 시켜야 한다.
③ 경기중 발생하는 모든 사고의 책임은 선수본인에게 있다. 단, 경기장시설물 붕괴또는 낙하물 사고는 예외로 한다.
④ 대회장내에서는 앞부분이 트인 슬리퍼 및 샌들의 착용을 금지한다.
⑤ 엔진종목 경기중 엔진이 꺼지거나 파손으로 피트인할 경우 반드시 주유피트에서 재출발 시켜야 한다.


3. 경기

3-1 연습주행

① 연습주행은 주행후 차검을 실시하지 않으며, 본인의 필요에의해 차검을 요청할 수 있다.
② 연습주행은 일정에 의해 생략될 수 있다.


3-2 컨트롤 프랙티스

① 컨트롤 프랙티스의 기록은 예선 조편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차량검사를 받아야 기록이 인정될 수 있다.
② 컨트롤 프랙티스는 일정에 의해 생략될 수 있다.


3-3 예선

① 예선경기시간은 5분이상이며, 대회 일정과 상황에 따라서 3회~5회를 실시한다.
② 예선출발은 운영요원의 지시에 의해서 출발한다.
③ 1위는 0점이되며, 2위는 2점, 3위는 3점, 이후 순위는 +1점씩 추가합니다.

예선 5회 : 5회중 상위기록 3회를 점수방식으로 합산.
예선 4회 : 4회중 상위기록 2회를 점수방식으로 합산.
예선 3회 : 3회중 상위기록 2회를 점수방식으로 합산.


예제가장 빠른 기록의 선수11LAP - 5:03.0780점
2번째 빠른 기록의 선수11LAP - 5:03.0792점
3번째 빠른 기록의 선수11LAP - 5:03.0803점
4번째 빠른 기록의 선수11LAP - 5:03.0814점
5번째 빠른 기록의 선수11LAP - 5:03.0825점


④ 최종 합산 점수가 동점일 경우 최고기록순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예제순위1차점수2차점수3차점수합계최고기록
1위560511LAP-5:01.070
2위056511LAP-5:01.090
3위1124611LAP-5:05.100
4위3310611LAP-5:03.011


⑤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예선을 2회 이하만 실시할 경우는 1회의 최고기록으로 예선 순위를 결정한다.
④ 점수가 동점일 경우 합산되는 점수중 최고점수로 순위를 결정하며, 다시 동점이 되는경우 두번째,세번째 점수로 순위를 결정한다. 모두 동점인 경우는 결승 기록중 최고기록(랩타임)을 보유한 선수를 우선순위로 한다.
⑤ 각 조의 인원은 최대 10명의 선수로 경기를 진행 할수 있다.


3-4 결승

  ① 결승경기시간은 5~20분이며, A-Main을 제외한 하위메인은 1회를 실시한다.

       * A-Main이하 결승경기시간은 5~10분이다.
  ② A-MAIN은 1회~3회 실시하며, 3회는 점수방식으로 순위가 결정된다.
      - 결승 3회 : 3회중 상위기록 2회를 점수방식으로 합산.
      - 결승 2회 : 2회중 상위기록 1회로 최종순위결정.
      - 결승 1회 : 1회로 최종순위결정. 

  ③ 1위는 10점이 되며, 2위부터는 1점씩 감산하여 채점된다.

  ④ 점수가 동점일 경우 합산되는 점수중 최고점수로 순위를 결정하며, 다시 동점이 되는경우 두번째 높은 점수로  순위를 결정한다. 

       모두 동점인 경우는 결승 기록중 최고기록(랩타임)을 보유한 선수를 우선순위로 한다.

    ⑤ 각 조의 인원은 최대 12명의 선수로 경기를 진행한다.
    ⑥ 결승 그리드는 기록 순으로 지정한다
     


3-5 우천시 대회 진행

① 날씨에 의해서 대회의 진행이 불가능 할 경우 주최측의 판단으로 중지,종료,연기 할 수 있다.
② 중지

- 비로 인하여 경기가 진행이 어려울 경우 주최측은 경기도중에 즉시 중지을 선언할 수 있다.
- 노면이 100% 비에 젖은 상태로 5분이상 주행이 어려울정도로 비가 내릴경우 즉시 중지를 선언할 수 있다.
- 예선경기중 중단되는 경우는 중지된 조의 경기는 무효가 된다.

③ 진행

- 비가 완전히 그친후 노면이 주행이 가능한경우 경기를 다시 진행할 수 있으며, 예선은 중지된 경기부터 다시 시작한다.
- 결승경기는 25%이하가 진행후 중지된 경우 재경기를 한다.
- 결승경기는 50%이하가 진행후 중지된 경우 중지된 시점부터의 기록으로 남은시간을 연결하여 다시 시작한다.
- 결승경기의 재시작은 중단된 시점의 기록으로 그리드를 지정한다.
- 대회일정은 비로 인하여 경기시간과 횟수가 변경 될 수 있으며, 최종종료시간은 오후 8시를 넘을 수 없다. 단, 경기장의 시설 및 위치에 따라 야간경기가 어려울 경우 오후 6시를 넘을 수 없다.
- 최종종료시간에 의해 시간이 부족한 경우는 예선기록 상위10명으로 A-MAIN만 경기를 할 수 있다.

④ 종료

- 예선 2회 이상 진행후 종료된 경우 현재예선기록순위로 순위를 결정한다.
- 순위결정을 위한 라운드는 모든조의 경기가 완료된 경우만 그 라운드기록이 인정될 수 있다.
- A-MAIN 경기시간이 25%이하(하위메인포함)의 진행상태에서 종료된 경우 예선기록으로 최종순위를 결정한다.
- A-MAIN 경기시간이 25%를 초과한 진행상태에서 종료된 경우 종료된 현재의 기록으로 최종순위를 결정한다.
- 경기시간이 50%를 초과하여 중지될 경우 중지된 기록은 인정이 되며, 중지된 기록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3-6 딜레이스타트

① B-MAIN이상부터 출발전 딜레이를 신청할 수 있다. 단, 주파수에 관련된 신청은 인정되지 않는다.
② 딜레이신청은 선수중 단 한명만 한번 신청이 가능하며, 출발시간은 10분간 지연이 된다.
③ 딜레이신청을 했던 선수는 0번 위치의 6미터 뒤에서 출발한다.

4 차량

4-1 KMRCA인증 브랜드 사용

① 대회에 사용가능한 모든 제품의 브랜드는 "KMRCA 한국선수권 참가 가능 브랜드" 규정에 준한다.


4-2 차량검사 

① 경기전 모든차량은 일1회 정밀검사를 받아 차량의 주행가능 여부를 확인 받아야 한다.
② 정밀검사후 표시되는 마킹의 훼손또는 개조등은 허락될 수 없다.
③ 매경기 종료후 차량은 지정된 차량검사대에서 차량검사를 받아야 한다.
④ 차량검사 불응 또는 불합격시 해당 경기기록은 삭제된다.


4-3 차량규정

① 차체

   - 휠베이스 : 320mm이상 379mm이하
   - 최대 넓이 : 310mm
   - 높이 : 최소 높이 155.0mm (20mm 블록의 섀시 플레이트 포함).
   - 1/8 오프로드 자동차 베이스의 기반으로 프런트 킥업이 최소 5도 이상 이어야 한다.
   - 샤프트 드라이브 방식 이어야 한다.
   - 범퍼 : 유연한 "폼" 재질로 된 범퍼가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모서리 부분이 둥글게 처리 되어야 한다.
     최소 치수는 200x20mm

② 중량 (계측장비포함)

- 3.500g이상 (베터리,계측장비를 포함한다.)

③ 타이어

   - 타이어 폭 : 최대 45mm
   - 타이어 직경 : 98mm이상 , 102mm 이하
   - 타이어 색 : 검정색
   - 타이어재질 : 고무이어야 하며  17mm 휠 너트로 고정해야 한다.

모터,변속기

   - 1/8 스케일 전용 모터(KV 제한 없음) 

  ⑤베터리 

   - 2S Li-Po/Li-Fe 7.6V 이하

   - 3S Li-Po/Li-Fe 11.4V 이하 

   - 4S Li-Po/Li-Fe 15.2V 이하

   - 트랜스폰더 및 수신기 별도 전원 허용(단, 모터동력으로 사용금지)

   - Li-Po/Li-ion/Li-Fe 베터리 추가 규정
     베터리 외부는 하드케이스로 되어 있어야 하며, 제조사(or 수입사),타입,전압,용량이 표기 되어 있어야 한다.
     베터리 하드케이스는 파손시키지 않으면 분해가 불가능 하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테입,스크류로 조립금지)
     베터리 하드케이스는 컨넥터용 이외의 구멍 또는 오픈된 곳이 없어야 한다.
     출발전 차검에서 Li-Po는 4.20v, Li-Fe는 3.70v를 초과해서는 않되며, 즉시 방전하여 다시 차검을 받아야 한다.
     볼테이지 계측은 협회에서 준비된 계측장비를 기준으로 한다.
     2S 배터리케이스 최대사이즈 : 길이-139mm / 넓이-47mm / 높이-25.1mm
     1S 배터리케이스 최대사이즈 : 길이-93mm / 넓이-47mm / 높이-18.5mm
     제품외부에 주의사항을 한글로 부착할 것을 권장 한다.
   - 배터리 충전, 보관시 세이프티백의 사용을 의무화 한다.

바디 

   - 시판중(KMRCA 인증)인 1/8 스케일 GT용 바디에 한함.
      단, 창문이 있는 바디는 창문이 투명한 색상이어야 한다.
   - 라이센스 바디
   - 미니멈 두께는 0.9mm


2666bc9c42db6b9a7b66e8e9971994a5_1691983203_5179.PNG
 

  - 전면 유리창의 허용 최대 직경은 80mm
  - 주유를 위한 루프의 허용 최대 직경은 50mm

 

2666bc9c42db6b9a7b66e8e9971994a5_1691983508_2634.PNG
 






⑨ 윙,스포일러

     리어 윙 사이드 댐 길이

     높이 : 77mm

     폭 : 최대: 217mm

  ⑩ 프런트 폼 범퍼
    - 프런트 폼 범퍼 의무 장착
    - 최소 200x20mm

 번호스티커

- 차량 전면,좌측면,우측면 각 1장씩 총3장의 번호스티커를 부착해야하며, 스티커는 절단,개조할 수 없다.
31374782_LCVA2e7d_95938efa1d3fc6b3f75328a79c2739e88e3b42dc.gif

⑫ 기타

- 안테나 : 유연성 있는 재질에 한함. (메탈, 카본 등 ROLLOVER 안테나 파이프 사용금지) 







** 위 내용(종목별 경기규정)을 충분히 숙지하였으며 참가신청을 합니다. **

1/10 엔진 투어링 및 1/8 GT 한국선수권대회 글쓰기

  •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대회 공지


최근글



2025.09.19 (금)
서울특별시 강남구 'C

☞ KMRCA 운영 계좌
우리은행 1005-102-948098
(사)한국무선조종모형자동차협회
사단법인한국무선조종모형자동차협회 All rights reserved.